이번 강좌에서 다루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본 데이터 구조

스칼라는 유용한 컬렉션을 여러 개 제공한다.

See Also 효율적인 스칼라에서도 컬렉션 사용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리스트

scala> val numbers = List(1, 2, 3, 4)
numbers: List[Int] = List(1, 2, 3, 4)

집합

집합에는 중복된 원소가 들어갈 수 없다.

scala> Set(1, 1, 2)
res0: scala.collection.immutable.Set[Int] = Set(1, 2)

튜플

튜플을 사용하면 클래스를 정의하지 않고도 여러 아이템을 쉽게 한데 묶을 수 있다.

scala> val hostPort = ("localhost", 80)
hostPort: (String, Int) = (localhost, 80)

케이스 클래스와 달리 튜플의 억세서(accessor)에는 이름이 없다. 대신 위치에 따라 숫자로 된 억세서가 있다. 첫번째 원소는 0번이 아니고 1번이다(역주: 1번부터 시작한 것은 함수언어의 전통에 따른 것이다).

scala> hostPort._1
res0: String = localhost

scala> hostPort._2
res1: Int = 80

튜플은 패턴 매칭과 잘 들어맞는다.

hostPort match {
  case ("localhost", port) => ...
  case (host, port) => ...
}

두 값을 묶는 튜플을 만드는 특별한 소스로 ->가 있다.

scala> 1 -> 2
res0: (Int, Int) = (1,2)

See Also 효율적인 스칼라에서 구조를 허무는 바인딩(destructuring binding)(“튜플 벗기기”)에 대해 다룬다.

맵에 기본적인 데이터타입을 담을 수 있다.

Map(1 -> 2)
Map("foo" -> "bar")

위 코드에서 ->는 맵을 위한 특별한 문법처럼 보인다. 하지만, 튜플에서 본 것처럼 ->는 단지 2-튜플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위 Map()에는 1강에서 살펴 본 가변 길이 인자 문법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Map(1 -> "one", 2 -> "two")은 실제로는 Map((1, "one"), (2, "two"))가 되고, 리스트에 있는 각 튜플의 첫번째 원소는 키, 두번째 원소는 값이 된다.

맵이 다른 맵이나 함수를 값으로 보관할 수도 있다.

Map(1 -> Map("foo" -> "bar"))
Map("timesTwo" -> { timesTwo(_) })

옵션

어떤 것(객체)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을 때, Option을 사용해 처리한다.

옵션의 기본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다.

trait Option[T] { def isDefined: Boolean def get: T def getOrElse(t: T): T }

옵션 자체는 일반적 클래스이며, 두 하위클래스 Some[T]None이 있다.

이제 옵션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보자.

Map.getOption를 반환한다. 옵션을 반환한다는 것은 찾는 값이 없을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scala> val numbers = Map("one" -> 1, "two" -> 2)
numbers: scala.collection.immutable.Map[java.lang.String,Int] = Map(one -> 1, two -> 2)

scala> numbers.get("two")
res0: Option[Int] = Some(2)

scala> numbers.get("three")
res1: Option[Int] = None

이제 데이터가 Option에 들어가 있을 것이다. 그럼 그 옵션을 가지고는 무얼 할 수 있을까?

아마도 isDefined 메소드를 사용해 조건부 처리를 하는 것이 가장 먼저 반사적으로 떠오를 것이다.

// 수에 2를 곱하자. 만약 값이 없으면 0을 반환하자. val result = if (res1.isDefined) { res1.get * 2 } else { 0 }

하지만 그보다는 getOrElse나 패턴 매칭을 사용할 것을 권한다.

getOrElse을 사용하면 기본 값을 쉽게 지정할 수 있다.

val result = res1.getOrElse(0) * 2

패턴 매칭도 자연스럽게 Option과 맞아들어간다.

val result = res1 match { case Some(n) => n * 2 case None => 0 }

See Also 효율적인 스칼라를 보면 옵션에 대한 글이 있다.

함수 콤비네이터

(역주: 콤비네이터란 이름에 웬지 모를 위압감을 느낄지도 모르겠는데, 콤비네이터는 함수와 컬렉션 등 다른 식을 받아서 적절한 작업을 해주는 조합 장치(함수)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List(1, 2, 3) map squared라고 하면 squared 함수를 리스트의 모든 원소에 적용한 다음 새 리스트를 반환한다. 결과는 아마도 List(1, 4, 9)가 될 것이다. map과 같은 함수를 콤비네이터(combinator)라 부른다. (더 나은 정의를 보고픈 사람은 스택 오버플로우의 콤비네이터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라.) 콤비네이터는 보통 표준 데이터 구조에 많이 사용된다.

map

리스트의 모든 원소에 함수를 적용한 결과값으로 이루어진 새 리스트를 반환한다. 원소 갯수는 적용 대상이 된 리스트의 원소 갯수과 동일하다.

scala> numbers.map((i: Int) => i * 2)
res0: List[Int] = List(2, 4, 6, 8)

또는 부분적용된 함수를 넘길 수도 있다.


scala> def timesTwo(i: Int): Int = i * 2
timesTwo: (i: Int)Int

scala> numbers.map(timesTwo _)
res0: List[Int] = List(2, 4, 6, 8)

foreach

foreach는 맵과 비슷하지만, 반환하는 것이 없다. 따라서 foreach는 부작용(값을 반환하는 것이 아니고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위해 사용한다.

scala> numbers.foreach((i: Int) => i * 2)

위 코드는 아무것도 반환하지 않는다.

반환되는 값을 변수에 넣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 타입은 Unit(즉, void)이다.

scala> val doubled = numbers.foreach((i: Int) => i * 2)
doubled: Unit = ()

filter

전달된 함수가 거짓을 반환하는 원소들을 제외한 나머지 원소들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반환한다. 참/거짓(즉, Boolean 값)을 반환하는 함수를 술어함수(predicate function)라 부르곤 한다.

scala> numbers.filter((i: Int) => i % 2 == 0)
res0: List[Int] = List(2, 4)
scala> def isEven(i: Int): Boolean = i % 2 == 0
isEven: (i: Int)Boolean

scala> numbers.filter(isEven _)
res2: List[Int] = List(2, 4)

zip

zip은 두 리스트의 원소들의 쌍(튜플)으로 이루어진 단일 리스트를 반환한다.

scala> List(1, 2, 3).zip(List("a", "b", "c"))
res0: List[(Int, String)] = List((1,a), (2,b), (3,c))

partition

partition은 술어 함수가 반환하는 값에 따라 리스트를 둘로 나눈다.
(역주. 원래 리스트의 모든 원소는 반환되는 두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꼭 포함되며, 한 원소가 양쪽에 같이 속하는 일도 없다.)

scala> val numbers = List(1, 2, 3, 4, 5, 6, 7, 8, 9, 10)
scala> numbers.partition(_ % 2 == 0)
res0: (List[Int], List[Int]) = (List(2, 4, 6, 8, 10),List(1, 3, 5, 7, 9))

find

find는 리스트에서 술어함수를 만족하는 가장 첫 원소를 반환한다.

scala> numbers.find((i: Int) => i > 5)
res0: Option[Int] = Some(6)

drop과 dropWhile

drop은 첫 i개의 원소를 떨군다. 따라서 나머지 (원래 리스트 길이-i)개의 원소만 남는다.

scala> numbers.drop(5)
res0: List[Int] = List(6, 7, 8, 9, 10)

dropWhile은 리스트의 앞에서 술어함수를 만족하는 원소를 없앤다. 술어함수가 최초로 거짓을 반환하면 그 뒤의 원소들은 살아 남는다.
예를 들어 numbers 리스트에서 홀수를 dropWhile하면 1이 떨어져 나간다. (하지만 32가 "방패막이"가 되기 때문에 결과 리스트에 들어간다).

scala> numbers.dropWhile(_ % 2 != 0)
res0: List[Int] = List(2, 3, 4, 5, 6, 7, 8, 9, 10)

foldLeft

scala> numbers.foldLeft(0)((m: Int, n: Int) => m + n)
res0: Int = 55

0은 시작 값이고(numbers가 List[Int]라는 사실을 기억하라), m은 값을 누적하는 변수 역할을 한다.

(역주: 여기서 누적이란 말은 덧셈으로 합산된다는 의미가 아니다. 물론 본 예제에서는 합산이 되고 있지만, 앞의 원소에 함수를 적용한 결과값이 전달되는 위치가 m이라는 의미이다. 풀어쓰자면, List(a1,a2,…,an).foldLeft(v0)(f)는 f(…f(f(v0,a1),a2),an)이다.)

foldLeft의 작동 과정을 자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scala> numbers.foldLeft(0) { (m: Int, n: Int) => println("m: " + m + " n: " + n); m + n }
m: 0 n: 1
m: 1 n: 2
m: 3 n: 3
m: 6 n: 4
m: 10 n: 5
m: 15 n: 6
m: 21 n: 7
m: 28 n: 8
m: 36 n: 9
m: 45 n: 10
res0: Int = 55

foldRight

foldLeft와 마찬가지이지만, 동작 방향이 반대이다. 따라서, n에 값이 누적된다.
(역주: foldLeft에서 쓴 것처럼 쓰면,ㅣ List(a1,…an)(v0)(f) = f(a1, f(a2, f(a3, …. f(an, v0)))) 이다.

scala> numbers.foldRight(0) { (m: Int, n: Int) => println("m: " + m + " n: " + n); m + n }
m: 10 n: 0
m: 9 n: 10
m: 8 n: 19
m: 7 n: 27
m: 6 n: 34
m: 5 n: 40
m: 4 n: 45
m: 3 n: 49
m: 2 n: 52
m: 1 n: 54
res0: Int = 55

flatten

flatten은 내포단계를 하나 줄여서 내포된 리스트의 원소를 상위 리스트로 옮겨준다.

scala> List(List(1, 2), List(3, 4)).flatten
res0: List[Int] = List(1, 2, 3, 4)

flatMap

flatMap은 map과 flatten을 합성한 것이다. 내포 리스트에 적용할 수 있는 함수를 중첩된 리스트 안의 각 리스트에 적용해서 나온 결과를 하나의 리스트로 합쳐준다.

scala> val nestedNumbers = List(List(1, 2), List(3, 4))
nestedNumbers: List[List[Int]] = List(List(1, 2), List(3, 4))

scala> nestedNumbers.flatMap(x => x.map(_ * 2))
res0: List[Int] = List(2, 4, 6, 8)

이를 map을 한 다음 flatten하는 것을 간략히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scala> nestedNumbers.map((x: List[Int]) => x.map(_ * 2)).flatten
res1: List[Int] = List(2, 4, 6, 8)


위의 예는 map과 flatten을 서로 엮어서 콤비네이터로 활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See Also 효율적인 스칼라에 flatMap에 대해 다룬 글이 있다.

일반적인 함수 콤비네이터

지금까지 컬렉션에 작업을 수행시 골라잡을 수 있는 함수를 몇가지 배웠다.

이제 자신만의 함수 콤비네이터를 만들 수 있다면 더 좋을 것이다.

재미있는 사실은, 앞에서 본 모든 콤비네이터가 fold를 기본으로 작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몇 가지 예를 보자.

def ourMap(numbers: List[Int], fn: Int => Int): List[Int] = {
  numbers.foldRight(List[Int]()) { (x: Int, xs: List[Int]) =>
    fn(x) :: xs
  }
}

scala> ourMap(numbers, timesTwo(_))
res0: List[Int] = List(2, 4, 6, 8, 10, 12, 14, 16, 18, 20)

왜 Nil이 아니고 List[Int]()를 초기값으로 넣었을까? 이는 스칼라가 빈 Int 리스트에 값을 누적하기를 바란다는 점을 알아낼 정도로 똑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역주: Nil을 넣으면 스칼라 타입 추론이 실패한다는 의미이다).

Map?

앞에서 본 모든 함수 콤비네이터는 맵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맵을 키와 값을 쌍으로 하는 원소를 가지는 리스트로 생각한다면, 앞의 모든 함수들은 그 위에 동작할 수 있다.
(역주: 여러 콤비네이터는 스칼라 컬렉션의 대부분의 클래스에서 사용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스칼라 API문서의 컬렉션 부분이나 스칼라 컬렉션 가이드를 참조하라.)


scala> val extensions = Map(“steve” → 100, “bob” → 101, “joe” → 201)
extensions: scala.collection.immutable.Map[String,Int] = Map((steve,100), (bob,101), (joe,201))

이제 내선 번호가 200보다 작은 모든 엔트리를 걸러내 보자.

scala> extensions.filter((namePhone: (String, Int)) => namePhone._2 < 200)
res0: scala.collection.immutable.Map[String,Int] = Map((steve,100), (bob,101))

filter는 전달된 함수에 투플을 넘긴다. 따라서 키와 값 중 원하는 것을 위치 억세서를 사용해 구분해야 한다. 영 좋지 않다!

다행히도 패턴 매치를 사용해 쉽게 키와 값을 분리할 수 있다.

scala> extensions.filter({case (name, extension) => extension < 200})
res0: scala.collection.immutable.Map[String,Int] = Map((steve,100), (bob,101))

어떻게 이런 동작이 가능할까? 부분적인 패턴 매치를 마치 함수처럼 전달할 수 있는 이유가 뭘까?

다음 강좌에서 이에 대해 다룰 것이다.